서울고속버스터미널이 업무·판매·숙박·주거 기능을 아우르는 복합시설로 재탄생한다. 터미널은 지하화되고 지상에는 최고 60층 높이의 주상복합 건물이 들어선다.
서울시는 서초구 서울고속버스터미널 부지 복합개발과 관련, 신세계센트럴·서울고속버스터미널과 사전 협상에 착수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는 면적 14만6260.4㎡에 달하는 부지를 개발하는 사업이다. 시는 앞서 지난 9월 두 사업자를 사전협상 대상지로 선정했다.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은 1970년대 경부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아침은 서울, 점심은 부산’ 시대를 열며 대한민국의 시공간 개념을 바꾼 국가 대표 교통거점으로 시작했다.
2000년대에는 센트럴시티 복합개발을 통해 업무·숙박·상업·문화 기능을 더하며 강남의 일상과 소비, 문화를 이끌어왔다.
그러나 50년 가까이 되는 노후한 건축물과 부지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주차 공간은 보행 단절과 도시 슬럼화의 원인이 됐고, 주민들은 고속버스 진출입으로 인한 교통체증과 대기오염·소음 같은 피해를 호소해 왔다.
터미널과 연결된 고속터미널역 3·7·9호선의 불편한 동선 체계 등의 구조적인 한계가 누적돼 안전·환경·이동 편의 측면에서 전면적 개편이 필요한 상황이다. 민간 사업자가 제안한 개발 계획에 따르면, 노후화한 경부·영동·호남선 고속버스터미널은 지하로 통합되고 현대화된다.
지상부는 업무·판매·숙박·문화·주거가 결합한 입체 복합개발을 통해 글로벌 미래 융합 교류거점으로 조성한다.
공항, 한강, 전국을 잇는 ‘미래교통플랫폼’ 구축, 글로벌 기업과 미래 혁신산업이 만나는 ‘글로벌 신성장 허브’ 조성, 서울 대표 녹지·문화축을 연결하는 ‘녹지문화거점’ 조성 계획도 담겼다.
민간 사업자는 공공기여를 활용해 고속버스 지하 직결차로를 신설해 지상부의 고속버스 교통량을 줄이고, 주변 연결도로를 입체화·지하화해 교통체계를 개선할 계획이다.
한강 연계 입체 보행교 등 보행 인프라를 구축해 한강 접근성을 강화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최고 높이는 지상 60층 이상이 될 전망이다.
시는 개발 계획의 공공성을 확보하기 위해 광역 차원의 교통개선 대책과 지역 필요 시설에 대해 검토하고 그 밖에 지역균형발전 방안에 대해서도 구체화해 나갈 예정이다.
시는 사전협상 과정을 통해 공공, 민간, 전문가들과 함께 개발 계획안을 구체화하고 협상을 통해 마련된 개발 계획안은 도시관리계획 변경 입안, 건축 인허가 신청 등의 과정을 거쳐 확정된다.
임창수 서울시 미래공간기획관은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입체복합개발은 단순한 재건축을 넘어 한정된 도심공간을 효율적으로 입체화하는 서울의 도시공간 패러다임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국제교류복합지구·강남 도심(GBD)·여의도(YBD)·용산 국제업무지구를 연결하는 글로벌 핵심 거점으로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