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영업 중 중개사 10만9979명 5명 중 1명만 사무실 운영 중인 셈 ‘영업중’ 5년 만에 11만명 아래로
영업 중인 공인중개사 숫자가 5년 2개월 만에 11만명 아래로 내려갔다. 올해 고강도 부동산 수요 억제책이 두 차례나 나오며, 부동산 거래가 줄어든 영향이다.
26일 한국공인중개사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영업 중인 공인중개사는 10만9979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0년 8월(10만9931명) 이후 5년 2개월 만에 11만명을 밑도는 수치다.
국내 공인중개사 자격증 보유자가 작년 기준 55만1879명인 점을 고려하면 5명 가운데 1명만 사무실을 운영 중인 셈이다. 2022년 하반기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 이후 부동산 경기가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한 점이 부동산 중개 영업 감소의 원인으로 꼽힌다.
특히 올해는 6·27 대책과 10·15 대책 등 초강력 부동산 수요 억제책까지 발표돼 부동산 거래량이 확 줄기도 했다. 구체적으로 6·27 대책을 통해서는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6억원으로 제한됐다. 10·15 대책은 서울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 및 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전국적으로 폐·휴업 공인중개사가 신규 개업 공인중개사보다 많은 현상은 2023년 2월부터 지난달까지 2년 9개월째 이어졌다.
신규 개업한 공인중개사 수는 지난 8월(583명) 협회가 2015년 중개사 개·폐·휴업 현황 집계를 시작한 이래 월간 역대 처음으로 600명 아래로 떨어졌다. 9월(666명)과 10월(609명)에도 600명대에 그쳤다.
공인중개사 시험 응시자 수도 감소세다. 지난해 10월 26일 시행된 제35회 공인중개사 자격시험에는 총 14만8004명(이하 1·2차 응시자 합산치)이 원서를 내 응시자 수가 2016년(18만3867명) 이후 8년 만에 20만명을 밑돌았다. 역대 최다 응시자를 기록한 2021년(27만8847명)과 비교하면 13만명 넘게 감소했다. 올해 공인중개사 최종 합격자는 이날 발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