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서울에 거주하는 30대 무주택 가구가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30대 가구주의 주택 소유 비율 역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집값 급등과 공급 부족, 강화된 대출 규제, 결혼 및 독립 시기 지연 등이 맞물리면서 사회 초년생의 ‘내 집 마련’이 과거보다 훨씬 어려워진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 주택소유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의 30대 무주택 가구는 52만7729가구로, 전년보다 1만7215가구 증가했다.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5년 이후 가장 많은 규모다. 서울 30대 무주택 가구는 2015년 47만5606가구에서 2018년 45만6461가구까지 감소했다가 2019년부터 6년 연속 증가세를 이어왔다. 특히 증가 규모는 2021년 이후 급격히 커지며 지난해 최대 폭을 기록했다.
특히 서울의 30대 주택 소유 가구는 3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지난해 18만3456가구로 전년 대비 7893가구 줄었으며, 통계 작성 이래 최저 수준이다. 무주택 가구는 주택 소유 가구보다 2.9배 많아 격차 역시 최대 폭으로 벌어졌다.
이 같은 흐름 속에 서울 30대의 주택 소유율은 25.8%로 떨어져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2015년 33.3%에서 꾸준히 하락해 2020년 30.9%, 2022년 29.3%로 낮아졌고 지난해 처음으로 25%대로 내려섰다. 전국 30대 주택 소유율 역시 36.0%로 6년째 감소 중이지만, 서울과는 10%포인트 이상 차이가 난다. 서울 집중 현상과 서울 중심의 집값 급등이 청년층 내 집 마련을 더욱 어렵게 만든 셈이다.
전문가들은 늦어진 취업·혼인 시기와 1인 가구 증가, 그리고 주택담보대출비율(LTV) 규제를 포함한 강도 높은 부동산 정책이 구매력을 약화시켰다고 평가한다. 최근 “현금 부자만 집을 살 수 있다”는 청년층의 자조가 커진 것도 같은 맥락이다.
청년층 스스로도 주거 안정과 자산 형성을 위해 내 집 마련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토지주택연구원이 작년 8~9월 전국 19~39세 무주택 1인 가구 700명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83.2%가 “향후 내 집 마련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는 ‘주택 구입자금 지원’(24.3%)이 가장 많이 꼽혔고 이어 ‘전세자금 지원’(22.3%), ‘공공임대주택 공급’(18.6%), ‘공공분양주택 공급’(14.4%)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