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종묘 앞 세운4구역 재개발과 관련해 "시뮬레이션을 해보니 압도적으로 눈을 가리고 숨 막히게 하고 기를 누를 정도의 경관은 전혀 아니다"고 18일 강조했다.
오 시장은 이날 제333회 서울시의회 정례회 시정질문에서 세운4구역 개발에 따른 종묘 경관 시뮬레이션 3D 이미지를 공개하며 이같이 말했다. 세운4구역에 들어설 고층 건물 높이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서울시가 경관 시뮬레이션을 공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오 시장은 해당 이미지에 대해 "정전 앞에 상월대라는 곳이 있는데 그곳에서 평균 신장의 시민이 서서 남쪽에 새로 지어지는 세운4구역을 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 그림이 종로변에 100m가 약간 안 되고 청계천변에 150m가 약간 안 되는 높이로 지어질 때의 모습"이라며 "정전에 섰을 때 눈이 가려집니까? 숨이 턱 막힙니까? 기가 눌립니까?"라고 되물었다.
해당 이미지에서는 시야의 가운데 부분에 남산타워가 보이고, 좌측으로 세운4구역 건물 4개 동의 윗부분이 수목선 위로 노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정면 우측으로도 세운4구역과 무관한 다른 건물이 수목선 위로 보인다. 좌측과 우측 모두 키 높은 나무를 조성하면 건축물 노출을 줄일 수 있는 정도로 보인다. 시와 세운4구역 주민대표회의 측은 종묘의 경관을 고려해 앙각 규정을 확대 적용해 종로변은 98.7m, 청계천변은 141.9m로 높이를 계획했다.
오 시장은 "정전 바로 앞에서 봤을 때 느끼는 모습을 가장 과학적으로 보여주는 사진"이라고 말했다. 이어 "과연 이로 인해 종묘의 가치가 떨어지고 정전의 건축학적 아름다움이 저해되는지에 논의의 초점이 맞춰지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시는 세운지구를 '녹지생태도심'으로 조성하겠다는 계획도 강조했다. 세운상가를 철거해서 그 자리에 약 5㎡의 대규모 도심공원과 폭 80~100m 녹지축을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종묘와 남산을 잇는 초대형 '그린 카펫'이 조성되는 셈이다. 민간 용지 내 개방형 녹지까지 합치면 세운지구 내 13만6000㎡의 녹지가 확보된다. 이는 광화문광장의 3배 규모에 달한다. 이를 위해 세운4구역은 현금 기부채납으로 968억원을 내놓기로 했다.
[임영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