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서울 평균보다 땅값이 낮은 재건축·재개발 사업지의 일반분양 물량을 늘려 사업성을 높여주기 위해 도입한 '보정계수' 제도가 시장에서 점차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서울 지역 20곳 안팎 사업장이 보정계수 적용을 받고 사업 속도를 내고 있다.
7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서울 노원구는 지난달 상계주공 5단지(사진) 재건축 사업 정비계획 변경안을 고시했다. 변경안엔 일반분양 물량을 기존 843가구에서 941가구로 늘리는 대신 임대주택 물량을 153가구에서 55가구로 줄이는 내용이 담겼다. 서울시가 작년 9월부터 도입한 보정계수를 적용받은 결과다.
사업성 보정계수는 단지나 지역 간 정비사업의 사업성 편차를 줄여주기 위한 도구다. 서울 평균 공시지가를 개별 사업장의 평균 공시지가로 나눈 값으로 산정한다. 땅값이 낮은 사업장일수록 보정계수가 높게 산정된다. 보정계수는 법적 상한 용적률까지 용적률을 높이는 만큼 공급해야 하는 임대주택 물량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반분양 물량이 늘어나 사업성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이 단지는 원래 GS건설과 시공 계약을 체결했지만 공사비 급등으로 분담금이 커지자 2023년 11월 시공사 선정을 취소했다. 이후 한동안 사업이 지지부진했지만 최근 정비계획을 변경한 후 한화 건설부문이 시공사 선정 입찰에 참여했다. 한화의 단독 입찰로 시공사 선정은 유찰된 상태여서 향후 수의계약이 유력하다.
지난해 보정계수 도입 이후 서울 지역 20곳 안팎에서 이 제도를 도입해 사업성 개선 효과를 보고 있다. 노원구 상계동 154-3 일대가 대표적이다. 상계역 일대 빌라촌인 이곳은 사업성 보정계수를 적용받아 일반분양 물량이 248가구 늘어났다. 동작구 상도15구역(55가구), 성북구 하월곡1구역(145가구), 서대문구 홍은15구역(136가구) 등도 보정계수를 적용받아 사업성이 개선됐다.
[김유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