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력규제에도 집값 고공행진 재건축 중심 상승폭 확대 거래 2건중 1건이 신고가 노도강은 하락세 더 커져 "똘똘한 한 채 효과 심화"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이 확대 지정된 후 서울 아파트 시장의 양극화 현상이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는 모든 아파트가 토허구역으로 지정됐음에도 연일 신고가가 나오며 집값 상승 폭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반면 이른바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등 외곽 지역 아파트값은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15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주 강남구(0.15%→0.19%), 서초구(0.19%→0.23%), 송파구(0.12%→0.22%), 용산구(0.14%→0.15%) 아파트값은 전주보다 일제히 상승 폭이 커졌다. 지난 3월 토허구역 확대지정 후 4개 자치구 아파트 거래량은 급감했지만 거래되는 매물 중 상당수가 최고가를 찍고 있기 때문이다.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지난달 강남구 전체 아파트 거래 가운데 59%는 신고가 거래였던 것으로 집계됐다. 용산구 아파트도 전체 거래의 46.2%가 신고가 거래였다. 서초구(33.3%)와 송파구(27.9%)도 전체 거래 중 3분의 1가량이 최고가 거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일례로 강남구 개포동 개포래미안포레스트 전용면적 84㎡(13층)는 지난 1일 30억6500만원에 거래되며 이전 최고가보다 1억1500만원이 올랐다. 압구정동 신현대 11차 전용면적 183㎡(6층)도 지난달 30일 99억5000만원에 거래됐다. 지난 3월 이뤄진 직전 거래보다 무려 7억5000만원이 오른 금액이다.
용산구 이촌동 한가람아파트 전용 59㎡(19층) 역시 지난달 24일 19억9000만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경신했다.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 전용 82㎡(5층)는 지난달 15일 40억7500만원에 팔렸다. 강남구 한 공인중개소 대표는 "신고가가 한 번 나오면 호가가 그에 맞춰 일제히 상향 조정되고 있다"고 말했다.
고준석 연세대 상남경영원 주임교수는 "다주택자 규제로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이 커지는 상황에서 토허구역이 확대 지정되며 상급지란 이미지가 한층 더 공고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양지영 신한투자증권 자산관리컨설팅부 수석은 "대선 국면에 접어들며 불확실성이 다소 해소됐고, 주요 후보들이 부동산 규제 공약을 내지 않는 것도 기대감을 키웠다"고 말했다.
반면 서울 외곽인 노도강 집값은 뒷걸음질을 치고 있다. 지난주까지는 보합 국면(0.00%)이었던 강북구와 노원구는 이번주 각각 0.01% 떨어지며 하락 전환했다. 도봉구(-0.01%→-0.02%)는 하락 폭이 소폭이나마 커졌다. 도봉구 창동 북한산아이파크 전용면적 84㎡(7층)는 지난해 8월 9억4000만원에 거래됐지만, 올해 3월 같은 층 다른 동이 8억9000만원에 거래됐다. 직방에 따르면 지난달 노도강 전체 거래 가운데 신고가 비중은 1% 내외에 불과했다.
양 수석은 "대선 후보들이 모두 재건축·재개발 활성화 공약을 내고 있다"며 "재건축 시장이 전반적으로 들썩이지만, 노도강은 분담금이 높아 아무래도 투자 수요가 적은 편"이라고 밝혔다. 실수요자 위주 시장인 만큼 강화되는 대출 규제가 악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편 이날 서울시는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과 관련해 발생한 혼선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한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주택실 산하 주택정책과에 '부동산제도팀'을 신설해 토지거래허가구역 입안 등을 검토한다. 또 부동산정책개발센터에는 '부동산금융분석팀'을 신설했다. 거시금융 상황이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검토해 정책을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이희수 기자 / 위지혜 기자 / 김유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