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분양시장에서 전용면적 60㎡이하 소형 타입의 경쟁률이 2년 연속 강세를 보이고 있다.
고분양가로 내 집 마련 부담이 커지자, 상대적으로 가격이 나은 소형타입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졌고, 3인 이하 가구 보편화 및 내부 특화 설계가 발달하며 인기가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15일 부동산인포가 부동산R114의 면적별 청약 경쟁률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에서 60㎡ 이하 소형 타입 1순위 청약 경쟁률은 2024년 39.4대 1, 2025년(1~4월) 14.2대 1을 기록한 반면, 전용 85㎡ 초과 타입은 2020년 103.6대 1에서 올해 4.5대 1로 크게 떨어졌다.
소형 타입의 인기가 높아진 배경으로 가장 먼저 꼽히는 것은 가파르게 오른 분양가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올해 3월 수도권 민간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3.3㎡당 2837만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0.4% 상승했다.
84㎡(34평)과 59㎡(24평)를 비교하면 총액 기준 약 2억8400만원가량 차이가 난다. 여기에 중대형으로 갈수록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제한을 쉽게 넘을 수 없어 소형 타입이 유리한 측면이 있다.
인구구조 변화 역시 소형 타입 선호현상을 이끄는 원인이다. 통계청이 2023년 발표한 인구총조사에 따르면 전국 평균 가구원수는 2.2명으로 줄었으며, 3인 이하 가구 비율이 전체의 83.3%를 차지한다. 큰 집보다 실용성을 앞세운 주거 형태가 인기를 얻는 셈이다.
소형 아파트의 평면 설계도 달라졌다. 기존에는 소형 아파트는 협소하고 불편하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건설사들은 3개 방과 안방 드레스룸을 넣은 효율적인 구조가 보편화됐다. 일부는 4베이 판상형 구조를 통해 공간활용성을 극대화했다.
최근 분양시장에서도 59㎡ 타입이 대량 공급되고 있다. 금호건설이 오산세교2지구에 6월 분양 예정인 ‘오센 세교 아테라’는 59㎡ 단일 면적으로 433가구가 공급된다.
오산 세교 아테라 분양 관계자는 “수도권 분양시장의 주력 수요가 1~3인 가구로 빠르게 교체된다. 콤팩트한 59㎡ 타입에 드레스룸·현관 창고·알파룸 등 수납 특화는 물론 타입에 따라 4베이 판상형 설계를 제공해 공간감을 확보했다”고 전했다.
서울에서는 서초구 반포동에서 공급 예정인 삼성물산 ‘래미안 트리니원’에서 59㎡ 타입이 456가구가 일반분양으로 나올 예정이다. 효성중공업이 시공하는 ‘해링턴 스퀘어 산곡역’를 분양에 돌입했다. 인천 부평구 산곡역(7호선) 역세권에 들어서며, 39㎡ 52가구, 59㎡ 705가구가 일반분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