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역 부동산 임의경매가 잇따르고 있다. 국내 은행의 서울 지역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이 두 달 연속 최고치를 쓰면서 ‘영끌족’들의 곡소리가 깊어지다.
14일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1~4월 서울 지역 부동산 중 임의경매에 따른 매각 소유권 이전 등기가 신청된 부동산은 979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742건) 대비 30% 넘게 급증한 수준이다.
임의경매는 부동산 담보 대출 차주가 원리금을 3개월 이상 연체하면 은행 등 금융기관 신청으로 재판 없이 부동산을 경매에 넘기는 절차다.
코로나19 때 저리로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영끌 차주들이 최근 고정금리 약정 기간이 풀리면서 금리가 크게 뛰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실제 이날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기준 지난 2월 말 기준 국내 은행의 서울 지역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35%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주택담보대출 중 1개월 이상 원리금 상환이 연체된 대출 비율을 의미한다.
해당 수치는 관련 통계가 작성된 지난 2019년 12월 이후 가장 높다. 서울 지역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지난 2021년 12월 0.09%에 그쳤으나, 이후 지속해서 지난해 2월 0.33%까지 오른 바 있다.
한동안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던 연체율은 작년 12월 0.31%에서 지난 1월 0.34%로 뛰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한 데 이어 추가로 상승세를 기록한 것이다.
통상 대출 연체율 상승은 한계에 다다른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 대출) 수요자들의 형편을 방증하는 지표로 활용되기도 한다.
한편 한국주택금융공사 기준 지난해 4분기 서울 지역의 주택구입부담지수(K-HAI)도 157.9로 전 분기(150.9)보다 크게 뛰었다. 서울 지역 차주들이 소득의 40.6%를 주택담보대출 원리금 상환에 사용하고 있는 셈이다.
2023년 4분기 소득의 40.1%에서 지난해 1분기 38.8%로 하락한 뒤 3분기째 30% 후반대를 이어오다 4분기 들어 다시 40%를 넘어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