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30대들은 실거주와 자산 형성을 동시에 고려해 인천과 경기 일부 지역을 대안으로 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인천 서구와 경기 화성시 등 개발 기대가 큰 지역을 중심으로 30대의 집합건물 매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법원 등기정보광장이 공개한 ‘부동산 소유권 취득현황’에 따르면 지난달 수도권(서울·경기·인천)에서 30대가 개인 명의로 취득한 집합건물은 총 1만4715건으로 전년 동월(1만5178건)보다 3.1% 감소했다.
전체 수도권에서의 거래 규모는 전년보다 줄었지만 서울은 반등했고 인천은 급증했다. 이 기간 서울은 2807건에서 4493건으로 60% 증가했다. 반면 경기도는 33.8% 줄어든 7142건을 기록했다. 인천은 1587건에서 3080건으로 94.1% 급증했다.
인천에서 가장 많은 거래가 이뤄진 지역은 서구(915건)였다. 검단신도시 2단계 분양과 루원시티 개발, 도시철도 1호선 연장 등 교통 및 개발 호재가 집중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같은 기간 미추홀구는 174건에서 854건으로 391% 증가하며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서울에서는 동대문구(586건), 송파구(341건), 영등포구(255건) 등에서 거래가 활발했다. 동대문구는 이문·답십리 일대 신규 입주, GTX-C 개통 기대, 동북권 개발사업 등이 영향을 미쳤다. 송파구는 잠실·문정 일대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거래가 재개되면서 수요가 늘었다.
경기도는 전반적으로 거래가 감소했으나 일부 핵심 지역은 여전히 30대의 선택을 받았다. 화성시(1061건)는 GTX-A 수서~동탄 구간 개통의 영향으로 거래가 활발했다. 안양시 동안구(703건)는 서울 접근성이 좋은 소형 아파트 수요가 많았고, 용인시 처인구(534건)는 플랫폼시티 개발과 반도체 배후 수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너무 높아진 서울 집값에 대한 부담감과 함께, DSR 등 금융규제 강화로 대출 여건까지 악화하면서 30대 실수요층의 주택 구매 행태는 점차 현실적인 대안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재편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양지영 신한투자증권 자산관리컨설팅부 수석은 “지금의 흐름은 ‘실현 가능한 서울’, ‘성장 잠재력이 높은 인천’, ‘선별적 접근이 요구되는 경기도’를 중심으로 주거 선택이 전략적으로 재배치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한편 KB부동산 시세에 따르면 올해 1~4월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1.77% 상승했다. 반면 인천과 경기도는 각각 0.27%, 0.4% 하락했다. 서울의 중위 매매가격은 10억원을 넘어선 반면 경기도는 4억8000만원, 인천은 3억5833만원 수준에 머물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