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거래 자금조달계획서 분석 차입금 비중 63%...4.2조 달해 한강벨트·강남3구 아파트 집중
전세금을 끼고 집을 매매하는 이른바 ‘갭투자’가 올해 서울지역에서 3040세대를 중심으로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차규근 조국혁신당 의원실이 국토교통부로부터 받은 올해 자금조달계획서를 분석한 결과 서울 지역 갭투자(임대보증금+금융기관대출액+임대 목적) 의심 거래 5673건 중 3040세대 비중이 78%(4430건)에 달했다.
이들의 자금 조달 방법을 자기자금과 차입금으로 분류해본 결과 자기자금이 2조4800억원, 차입금이 4조2900억원으로 나타났다. 주택 매입자금의 63.4%를 차입금으로 마련한 셈이다. 갭투자 의심 거래 중 차입금 100%로 집을 산 건수도 67건에 달했다.
자기자금의 경우 부동산 처분대금이 1조204억700만원으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다. 이어 2위 금융기관 예금액(9442억5900만원), 3위 증여·상속(2399억2600만원), 4위 주식채권 매각대금(2271억3700원), 5위 현금 등 그 밖의 자금(515억9200만원) 순이다.
3040세대가 주로 갭투자로 집을 매수한 지역은 한강벨트로 분류되는 ‘마포·용산·성동’이다. 서울 집값이 급등했던 지난 6월 서울 갭투자 거래 중 30·40대 매수자의 거래 비중은 29.1%(1047건)였는데, 마포·용산·성동의 비중은 48.5%(302건)에 달했다. 서울시가 잠실·삼성·대치·청담을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잠시 해제했던 지난 3월에는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의 갭투자 거래 중 3040세대 비중이 49.3%(423건)에 달했다. 이들 지역이 토허구역으로 재지정된 4월에는 다시 이 비중이 11.5%(21건)까지 감소했다.
한편 6·27 대출규제 이후 서울시의 아파트 갭투자 거래 건수는 확연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6월 1366건에 달했던 갭투자 거래 건수는 7월 205건으로 감소했다. 마포·용산·성동의 경우 6월 392건에서 7월 45건으로 90% 가까이 감소했다.
차 의원은 “갭투자의 주요 연령대가 30·40대에 쏠려 있다. 올해 3월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제 번복 당시에는 1월과 비교해 차입금이 3.8 배가 증가했었다”며 “섣부른 정책이 부동산에 잘못된 신호를 주었던 것이다. 현재 정부의 대출규제로 차입금은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며 안정화를 위한 정책이 계속돼야 한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