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뉴스

매일경제

“전셋값에 허리 휠 지경”…18평 아파트에 월세 내고 사는 젊은층

조성신 매경닷컴 기자(robgud@mk.co.kr)기사입력 2024.03.06 11:20:22

월세 거래량 8221건 중 소형 5241건
전용 60㎡ 이하가 가장 많아


올해 1월 서울 아파트 월세 거래의 대다수가 전용 60㎡ 이하 소평인 것으로 나타났다. 치솟는 월세 부담이 소형 아파트 선호로 이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자료에 띠르면 올해 1월 서울 아파트 월세 거래 총 8221건 가운데 전용 60㎡ 이하 월세 거래량(5241건)은 전체 거래의 63.8%를 차지했다. 이는 국토부가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11년 이후(1월 기준) 가장 높은 수준이다.
아파트 월세 계약에서 소형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2020년 1월 55.2%, 2021년 1월 55.4%, 2022년 1월 57.2%을 기록했고 지난해 1월엔 61.7%를 기록하면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어 중소형(전용 60㎡ 초과~85㎡ 이하) 아파트 월세 거래량은 2188건으로 전체의 26.6% 비율을 보였으며, 중형(전용 85㎡ 초과~102㎡ 이하) 170건(2.1%), 중대형(전용 102㎡ 초과~135㎡ 이하) 458건(5.6%), 대형(전용 135㎡초과) 164건(2.0%) 순으로 집계됐다.

서울 25개 자치구에서 소형 아파트 월세 계약이 가장 많은 지역은 송파구로 425건을 기록했다. 이어 강서구 400건, 노원구 396건, 강동구 361건, 강남구 321건, 마포구 308건, 영등포구 274건 순으로 많았다.
아파트 월세 계약에서 소형 규모의 아파트 비율이 늘어나고 있는 원인으로는 전셋값 상승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1인 가구 증가도 한몫하고 있다. 행정안전부 자료를 보면 올해 1월 서울시의 1인 가구 수는 198만9800여 가구로 전체 가구(447만1000여가구)의 44.5%에 달했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서울 신규 입주물량 감소에 따라 전세가격이 상승하고 있다”면서 “자금 여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젊은 층에선 소형 아파트 월세 계약이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1월 서울 아파트 전세 거래량은 1만 2141건으로 나타났다. 규모별로는 월세와 마찬가지고 소형이 5296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중소형 5133건, 중형 318건, 중대형 1129건, 대형 265건 순으로 집계됐다.

go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