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서울의 주택 수 증가율이 통계 작성 시작 이래 가장 저조한 수준을 보였다. 서울 집값 상승 요인 중 하나로 지목되는 주택 공급 부족 현상이 통계청 통계에서도 확인된 셈이다.
통계청이 지난 29일 발표한 ‘2024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등록센서스 방식)’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전국의 주택 수는 1987만3000호로 전년 대비 32만6000호(1.7%) 늘었다.
김서영 통계청 인구총조사과장은 “연평균 주택 증가율은 1995년 5.4%로 정점을 기록한 이후 둔화하고 있다”며 “최근 5년간 평균 증가율은 1.9%이고, 작년 주택 증가율은 전년도에 비해 0.4%포인트(p) 감소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지역별로 보면 전체 주택의 46.7%(929만 호)는 수도권에 몰려 있었다.
내리막 걷는 ‘서울 주택 증가율’ 원인은?
서울(0.5%)이 전국에서 전년대비 증가율이 가장 낮았다. 이는 통계청이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1960년 이후 6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서울의 주택 증가율은 2020년 2.1% 이후 2021년 1.8%, 2022년 1.4%, 2023년 1.4% 등 내리막을 걷고 있다. 2021년 이후 서울의 준공실적이 계속 감소한 결과라는 게 통계청 해석이다.
주택 공급 부족은 서울 집값 상승 요인 중 하나로 분석된다. 주택 종류별 비율을 보면 아파트(65.3%), 단독주택(19.3%), 연립·다세대(14.3%) 등 순이었다.
아파트는 전년보다 2.7% 증가하며 가장 증가 폭이 컸다. 그만큼 선호도가 높다는 뜻이다.
건축된 지 20년 이상된 주택은 전체의 54.9%였고, 30년 이상 된 주택은 28.0%로 집계됐다.
주택당 평균 거주인수는 2.6명으로, 5년 전과 비교하면 0.3명 줄었다.
미거주 주택(빈집)은 전년보다 4.2% 늘어난 159만9000호였다. 전체 주택 중 빈집 비율은 8.0%로 전년보다 0.2%p 늘었다.
반지하·지하가 있는 주택은 26만1000호로 집계됐다. 옥탑이 있는 주택은 3만4000호였다. 각각 총 주택의 1.3%·0.2%를 차지했다. 반지하·지하와 옥탑 주택 조사는 처음 이뤄졌다.
반지하·지하에 거주하는 가구는 39만8000가구(1.8%)였고, 옥탑에 거주하는 가구는 3만6000가구(0.2%)였다.
‘나 혼자 산다’ 1인 가구 비중 또 역대 최대
지난해 1인 가구는 804만5000가구였다. 1인 가구 비중은 36.1%로, 전년보다 0.6%p 늘어 또 최대치를 경신했다. 다만 1인 가구의 전년대비 증가율은 2.8%로 2023년(4.4%)보다 1.6%p 낮아졌다.
65세 이상 고령자 가구 수는 올해도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고령자만 있는 가구는 400만7000가구로 전년보다 7.0% 늘었다. 고령자 혼자만 사는 1인 가구, 즉 독거노인 가구는 228만9000가구로 역시 전년보다 7.0% 증가했다.
고령자 1인 가구의 비율은 특별·광역시의 경우 부산(12.7%)이, 도지역에서는 전남(16.1%)이 각각 가장 높았다.
2019년과 비교해 보면 고령자만 있는 가구는 47.3%, 고령자 1인 가구는 49.3% 각각 늘었다.
성별로 보면 남자는 30대(21.8%)에서, 여자는 60대(18.7%)에서 혼자 사는 이들이 많았다.
반면 18세 이하 자녀가 있는 가구는 451만7000가구(20.3%)로 전년보다 1.6% 줄었다. 5세 이하 자녀가 있는 가구는 128만4000가구(5.8%)로, 역시 전년보다 5.3% 감소했다.
미혼모·부는 총 2만5000명이었다. 이 가운데 미혼모는 2만명이었다. 미혼모는 전년보다 1.2%(239명) 증가했지만, 미혼부는 6.8%(363명) 감소했다.
한부모가구는 149만1000가구(6.7%)로 1년 전보다 0.1%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