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이하린 매경 디지털뉴스룸 기자(may@mk.co.kr)기사입력 2025.07.02 08:48:38
‘패닉 바잉(불안감으로 인한 매수)’으로 과열 양상을 보이던 서울 부동산 시장이 정부의 초강력 대출 규제 이후 빠르게 식어가고 있다.
1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정부가 주택담보대출을 6억원으로 제한하는 등의 규제 내용을 발표한 뒤 주담대를 활용한 매매가 많았던 강남, 송파, 서초, 성동, 용산 등 이른바 ‘한강벨트’ 시장이 순식간에 냉각됐다.
송파구 엘리트(엘스·리센츠·트리지움)를 주로 중개하는 A 공인중개사에 따르면, 대출 규제 전 30억원대 아파트 매수 계약서를 쓰고 2억원의 약정금까지 냈다가 이를 포기한 사례가 두 건 나왔다.
이번 규제로 집값이 하락할 수 있다는 불안감에 계약을 포기한 것으로 전해졌다.
동시에 매수 후보자의 약정금 포기로 갑자기 거액이 생긴 집주인들은 그만큼 호가를 낮춰 집을 내놓고 상급지로의 이동을 계획 중이다.
A씨는 “34억원이던 호가를 32억5000만원 등으로 낮춰서 내놓고 더 상급지로 이동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선 부동산들은 계약을 포기하는 사례가 아니라면 새로운 매수 문의는 완전히 끊기다시피 했다고 입을 모으는 상황이다.
후순위 대출이 막힌 상황에서 거액의 자금을 마련하기 쉽지 않고, 집값 불확실성을 감수할 여유도 없다는 이유에서다.
이런 가운데 이르면 이달 중 발표될 것으로 보이는 주택 공급대책 규모에도 관심이 모인다.
이상경 신임 국토교통부 1차관은 전날 취임사에서 “청년·신혼부부 등 무주택자들을 위한 부담 가능한 주택의 공급과 주거복지 차원의 공공임대주택 공급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며 “1인 가구와 청년, 신혼부부, 고령자 등 세대별·계층별 주거 사다리를 복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무엇보다 실수요자들에게 저렴한 주택을 안정적으로 공급한다는 플랜을 제시해야 한다”며 투기세력이 아닌 실수요자들의 심리 안정에 공급 정책의 초점을 맞췄다.
일단 공공기관과 기업 등이 보유한 유휴부지를 활용하고, 업무상가 용지를 주택용지로 전환해 실수요자를 위한 주택 공급을 확대하는 방안이 검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1인 가구와 청년층이 선호하는 ‘직주 근접’(직장과 주거가 근접) 주택 공급을 위해 역세권과 주거상업고밀지구를 활용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재개발·재건축 용적률과 건폐율을 높이고 인허가 기간을 줄여 정비사업을 통해 도심 선호지역 공급을 늘리는 방안도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